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전략적 사고를 위한 게임이론(6) - 게임의 형식 전략형  전략형 또는 정규형 게임은 전 절에서 설명한 게임의 구성요소 가운데 경기자, 전략, 보수의 세 가지 구성요소만을 갖춘 형태이다. 즉 전략형 게임에서는 선택의 순서나 정보의 완전성 여부는 알 수 없다.   경기자 1은 U와 D 둘 중 하나의 순수전략을 취해야 하고, 경기자 2가 L과 R 둘 중에 하나를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하자. 경기자 1과 경기자 2가 각자의 순수전략을 선택한다면 그 결과로 순수전략 조합이 실현된다. 여기서 경기자 1과 경기자 2의 순수전략이 각각 두 개씩이므로 실현이 가능한 순수전략 조합은 (U, L), (U, R), (D, L), (D, R)의 네 가지가 된다. 각 경기자의 보수는 모든 경기자가 선택한 전략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된다. 경기자가 두 명일 경우 전략형 .. 2025. 2. 18.
전략적 사고를 위한 게임이론(5) - 게임의 구성요소, 게임의 형식 계속해서 게임의 구성요소에 대해 작성하겠다. 행동과 전략  의사결정의 상황에서 경기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들을 행동이라 부른다. 어떤 경기자가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는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이것까지도 행동의 하나로 포함되어야 한다. 순수전략이란 일어날 개연성이 있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해당 경기자가 취할 행동의 완전한 계획으로 정의된다.  순수전략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예를 생각해 보자. 남북문제에 있어서 남한의 선택은 1) 평화 회담을 위한 접촉을 시도하거나 2) 접촉 시도를 중지하고 냉각상태를 유지하는 것, 두 가지라고 가정하자. 이에 대한 북한의 선택은 3) 남한의 요청에 호의적으로 응답하거나, 혹은 4) 남한의 요청을 묵살한다는 두 가지 선택이 있다고 가정하자. 북한이 어떠한 태.. 2025. 2. 18.
전략적 사고를 위한 게임이론(4) - 게임의 구성요소 *이어서 계속해서 게임의 구성요소를 소개하고자 한다. 자세히 읽어보면 게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이니 계속해서 참고해서 읽어보길 바란다. 게임이론을 이해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파트이므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의사결정의 순서  의사결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을 순차게임이라고 부르며, 모든 경기자의 의사결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게임을 동시게임이라고 부른다. 예컨대 바둑이나 장기는 순차게임이며, 밀봉입찰경매나 특허 취득 경쟁은 동시게임이다. 동시게임의 핵심은 경기자가 자신의 전략을 선택하는 순간에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했는지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따라서 동시게임에서 '동시'라는 의미는 경기자들이 시간상으로 동시에 전략을 선택한다는 뜻이라기보다는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 2025. 2. 18.
전략적 사고를 위한 게임이론(3) - 게임이론의 발전, 게임의 구성요소 * 게임이론의 발전 지난 글에 이어서!  게임이론은 경영학의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재무관리 분야에서는 주주 간 또는 주주와 경영자 간의 전략적 관계를 게임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회계학에서는 주인-대리인문제라는 게임 이론적 분석체계를 적용하여 경영자 측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누출 정도와 공개된 회계정보를 해석하는 이해관계자들의 행태를 설명한다. 경제 사회적 현상의 분석체계로서의 게임이론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길이기도 하다. 현재 다수 학문 영역의 국내외 유수 대학 및 대학원들은 게임이론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일례로 정치학 분야의 주요 학술논문 서너 편 가운데 하나는 게임이론에 대한 배경지식과 훈련 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게임이.. 2025. 2. 17.